JS- 카멜 표기법, 스네이크 표기법(규칙)
JS- 카멜 표기법, 스네이크 표기법(규칙)
오늘은 JS를 사용하시면서
간단한 규칙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바로 카멜 표기법, 스네이크 표기법인데요!
두 가지 규칙은 모두 이름과 관련이 있는 규칙입니다.
JS를 공부하시면서 변수나 함수를 사용할 때
해당 변수나 함수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나뿐만 아니라 팀원들이 모두 알 수 있게
이름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때 카멜 표기법과 스네이크 표기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1)
카멜 표기법
먼저 카멜 표기법은 첫 번째 단어 이후 이어지는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쓰는 방식입니다.
카멜 표기법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낙타의 형태와 닮았다고 해서
붙어지게 되었습니다.
예시를 보여드리면
만약 함수가 사용하는 유저의 이름에 관련된 함수라고 했을 때
user과 name을 사용하는데
이때 앞에 user은 소문자 뒤에 name은 n은 대문자로 사용해서
합치는 것입니다.
그럼 userName이 되겠죠!
이런 식으로 사용하는 것을 카멜 표기법이라고 합니다.
(2)
스네이크 표기법
스네이크 표기법은 카멜 표기법과 비슷한 내용인데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바로 방식을 보여드리면
카멜 표기법은 userName으로 사용했다면
스네이크 표기법은 user_name으로 사용합니다.
차이점은 user와 name을 _로 연결한다는 것과
name 앞에 소문자로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3)
정리
카멜 표기법과 스네이크 표기법을 사용해서
변수, 함수와 같이 이름을 만들 때 사용하는데
동일하게 사용하실 수 있기 때문에
선호하시는 것을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저는 카멜 표기법을 주로 더 많이 사용하는데
JS를 사용하면서 스네이크 표기법보다는
카멜 표기법이 더 빠르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들도 상황에 따라 사용하시면 될 것 같고
이런 표기법이 있다는 것을 알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