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JS/JS 기초26 JS- 카멜 표기법, 스네이크 표기법(규칙) JS- 카멜 표기법, 스네이크 표기법(규칙) 오늘은 JS를 사용하시면서 간단한 규칙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바로 카멜 표기법, 스네이크 표기법인데요! 두 가지 규칙은 모두 이름과 관련이 있는 규칙입니다. JS를 공부하시면서 변수나 함수를 사용할 때 해당 변수나 함수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나뿐만 아니라 팀원들이 모두 알 수 있게 이름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때 카멜 표기법과 스네이크 표기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1) 카멜 표기법 먼저 카멜 표기법은 첫 번째 단어 이후 이어지는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쓰는 방식입니다. 카멜 표기법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낙타의 형태와 닮았다고 해서 붙어지게 되었습니다. 예시를 보여드리면 만약 함수가 사용하는 유저의 이름에 관련된 함수라고 했을 때 user과 name을 사용하.. 2022. 11. 17. JS- JS로 HTML, CSS 다루는 방법! JS- JS로 HTML, CSS 다루는 방법! 오늘은 JS에서 가장 중요한 JS를 통해 HTML, CSS를 변경하거나 관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방식을 먼저 설명드리면 document.getElementById('HTML-id').바꾸고 싶은 부분 = '바꾸고 싶은 값'; 위에 코드예시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JS를 통해 HTML, CSS를 변경하고 싶다면 우선 해야 할 것이 HTML을 먼저 작성해야 합니다. 이유는 변경해야 할 대상이 필요하기 때문인데 정확하게 대상을 지정하기 위해서 우리는 id나 class를 사용합니다. 근데 id가 class보다 안전하기 때문에 id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위에 코드를 해석하면 (1) document 해석하면 문서라고 해석하는.. 2022. 11. 6. JS - setInterval, setTimeout란? JS - setInterval, setTimeout란? 오늘은 JS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setInterval과 setTimeou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두 개의 함수는 모두 출력되는 시간과 관련이 있는 함수입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시다 보면 일정 시간을 텀을 두고 반복을 해야 하는 경우나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 실행되는 코드를 작성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경우에 setInterval, setTimeout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제 두 개의 함수를 본격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setInterval 먼저 setInterval은 일정 시간을 기준을 정해서 계속해서 반복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면, 5초에 한 번씩 실행되는 코드를 만들고 싶을 경우 사용할 수 있는데요! 이때 func.. 2022. 10. 31. JS- 메소드(method) JS- 메소드(method) 오늘은 JS에서 메소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메소드란? 간단하게 {}(중괄호)로 코드를 묶은 것을 의미합니다. JS를 공부하면서 객체나 배열 등에서 용어는 잘 몰라도 메소드를 많이 보셨을 텐데 메소드의 코드 예시를 보시면 //user 부분이 메소드의 이름이고 {}안을 메소드라고 합니다. const user{ name : "메소드" age : "1" } //user라는 메소드 이름을 통해 호출할 수 있습니다. user.name(); 이런 식으로 메소드의 이름을 정의하고 {}(중괄호)로 코드를 묶어서 정리하는 부분을 메소드라고 부르고 있고 아래 user.name();의 방식처럼 메소드의 이름을 통해 호출할 수도 있습니다. 메소드를 사용하는 이유는 작업을 하면서 객체나 배열 등을.. 2022. 10. 5. 이전 1 2 3 4 ··· 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