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객체3

JS- 구조 분해 할당(Destructuring assignment) JS- 구조 분해 할당(Destructuring assignment) 오늘은 JS에서 사용되는 구조 분해 할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구조 분해 할당이란 배열이나 객체에서 구성을 분해한 뒤 그 분해된 값을 변수에 담을 수 있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말이 어려워서 바로 예시를 통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예시에 앞서서 구조 분해 할당은 배열과 객체를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우선 배열에 구조 분해 할당에 대해 보겠습니다. let [ex1, ex2] = [10, 20]; //기존의 배열에 지정할 값을 작성합니다. //그러면 결과값은 console.log(ex1); //10 console.log(ex2); //20 //지정된 값 대로 출력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시를 보시면 기존에 배열에 변수를 통.. 2022. 9. 7.
JS- 심볼(Symbol) JS- 심볼(Symbol) 오늘은 JS에서 사용되는 자료형 심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심벌은 유일성이 보장되는 자료형으로 여러 개의 설명이 동일한 심벌을 작성해도 심볼의 값은 다르게 나타납니다. 심볼은 Symbol('설명')을 사용하여 적용할 수 있습니다. 설명란에는 심볼을 설명할 수 있는 텍스트를 작성하시면 됩니다. let id = Symbol('id'); //심볼 코드 예시 let id1 = Symbol('id'); let id2 = Symbol('id'); //설명이 같은 두개의 심볼을 비교해보면 console.log(id1 == id2); //false가 출력됩니다. 심볼형은 같은 설명을 가진 심볼이라도 동일 연산자를 사용하여 비교하면 false를 출력합니다. 심볼은 객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 2022. 8. 30.
JS- 객체(Object) JS- 객체(Object) 오늘은 JS에서 정말 중요하게 사용되는 객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객체란 간단하게 수납공간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우리는 사용될 것 같은 물건을 미리 구매해서 수납공간에 저장해 놓은 다음 추후에 필요성에 따라 수납공간에서 꺼내어 사용합니다. 객체도 수납공간과 똑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객체는 let 변수이름 = { 키(key): 값(value); ex) name(key): 'james'(value), //콤마(,)가 포인트입니다. . . . . } 이런 식으로 키(key)와 값(value)으로 구성된 프로퍼티를 작성하며 프로퍼티 끝에는 콤마를 넣어주시는 것을 습관적으로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추후에 프로퍼티의 수정, 삭제, 이동할 경우.. 2022. 8.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