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 브라우징이란?
오늘은 크로스 브라우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크로스 브라우징이란
현재 크롬, 사파리, 파이어 폭스, 오페라와 같은
다양한 웹 브라우저에서 웹페이지가 잘 호환되도록
만드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과거에는 웹 브라우저가 다양하지 않기 때문에
크로스 브라우징에 대해서는
지금 보다 중요성이 떨어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브라우저를 사용하면서
크로스 브라우징은 정말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우선 크로스 브라우징은
모든 브라우저가 같은 화면을 표시되게 만드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비슷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만약 현재 개발하고 있는 웹페이지를 크롬에서 만들었다면
크로스 브라우징을 해도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크로스 브라우징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내가 만든 웹페이지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다른 브라우저에서 누락되지 않도록 만든 다는 것입니다.
아까도 말씀드렸듯이 현재 세계에서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브라우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사람들에게 내가 만든
웹페이지를 전달하고 싶다면 크로스 브라우징은
반드시 사용되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크로스 브라우징을 사용해도
모든 브라우저를 맞춘다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고
코드를 짜는 것에도 시간이 많이 소요될 것입니다.
그래서 요즘 추세는 많이 사용되는
브라우저를 타깃 해서 크로스 브라우징을 하는 것인데
국내를 봤을 때는 크롬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크롬에 대해서는 반드시 크로스 브라우징을 해야 할 것입니다.
이처럼 만약 내가 만든 웹 페이지의
타깃이 어느 국적인지, 연령대가 어떻게 되는지,
성별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많이 사용되는 웹 브라우저를 확인하시고
크로스 브라우징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크로스 브라우징에 대해서
기본적으로 HTML, CSS, JS에서 호환이 되는 코드가 있고
호환이 안 되는 코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해당 코드에 사용된 값이
원하는 브라우저와 호환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는데
보통 MDN, Can I use 등등 몇 가지 있습니다.
저는 'Can I use'를 추천드리겠습니다.
https://caniuse.com/ <- Can I use 사이트
해당 검색 부분에 확인하고 싶은 코드를
작성하시면 호환되는지 안되는지에 대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추후에 크로스 브라우징 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