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S/CSS 기초

CSS 전체선택자(*)

by 쫑뚱이 2022. 7. 5.
728x90
반응형

CSS 전체선택자(*)


오늘은 CSS의 전체선택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SS 전체선택자를 알기 전에 먼저 알아두셔야 할 것이 2가지 있는데

 

먼저 CSS의 기본 구조를 알아야 합니다.

 

CSS의 기본 구조는 선택자{속성: 속성값;}으로 설정하는데 전체선택자는

기본 구조에서 '선택자'에 작성하는 것이고 전체선택자는 '선택자'에 *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사용합니다.

 

다음으로 알아야 할 것은

HTML은 기본적으로 적용되어 있는 스타일이 있다는 것입니다.

 

<h1> 태그 기본 스타일

예시로 <h1> 태그를 보시면 CSS 스타일을 적용하지 않았는데

font-size가 2em으로 적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em은 부모 태그의 font-size의 값을 의미합니다.

-더 디테일한 정보는 다음 단위에 대한 글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부모 태그의 기본 값은 건들지 않았기 때문에 기본 font-size인 16px이

적용되어 <h1> 태그의 font-size는 2em인 32px로 보시면 됩니다.

 

전체선택자
적용된 값

이처럼 HTML에서는 기본적으로 적용되어 있는 스타일을 제공하는 태그가 있는데

CSS의 전체선택자는 HTML에서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스타일 값을 변경하기 위해 주로 사용됩니다.

전체선택자는 말 그대로 전체 태그를 선택하는 선택자로 전제선택자에 값을 적용하면 전체 태그의

스타일에 관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코드입니다.

 

※참고로 요즘 추세는 전체선택자 대신 그룹 선택자를 사용하는데

이 그룹 선택자는 ,를 사용하여 작성합니다.

그룹 선택자를 사용하는 이유는 전체선택자는 원하지 않은 태그에도 적용이 되기 때문에

그룹 선택자를 사용하면 원하는 태그에만 원하는 값을

적용할 수 있어서 요즘은 그룹 선택자를 많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전체선택자를 알아둬야 하는 이유는 빠르고 간편하게 값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선택자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전체 선택자

전체 선택자에서 주로 적용하는 값으로는

HTML의 박스 모델인 margin과 padding 값을 0으로 만드는 것과

box-sizing을 border-box로 조절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margin과 padding의 값을 0으로 조절하는 이유는

웹디자인을 했을 때 0으로 조절하면 다른 영역과의 margin과 padding을

조절하는데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box-sizing을 border-box로 조절하는 이유는 웹디자인을 했을 때

box-sizing을 조절하지 않는다면 약간의 오차가 생기면 균형이 무너져

원하는 디자인을 하기 어려울 경우가 생깁니다.

그래서 box-sizing을 border-box로 적용하여 너비와 높이의 균형을 주어

후에 오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오늘 내용을 정리해 보면 전체선택자는

HTML의 기본으로 적용되는 스타일을 기본 값으로 조정하거나

웹디자인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본 값을 적용하기 위해

전체선택자를 사용하여 HTML의 전체 태그에 기본 값을 줄 수 있습니다.

 

그룹 선택자

요즘은 전체선택자 보다 그룹 선택자를 많이 사용하는데

전체선택자의 단점인 원하지 않은 태그에도 적용되는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그룹 선택자를 사용하여 원하는 태그에만 적용할 수 있도록 ,를 사용하여 사용합니다.

 

하지만 전체선택자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빠르고 간편하게

값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전체선택자를 사용합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