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개발자27

JS - 논리 연산자 ||(or), &&(and), !(not) JS- 논리 연산자 ||(or), &&(and),!(not) 오늘은 JS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논리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목에서 보셨듯이 논리 연산자는 or, and, not을 사용하는 방식인데 논리 연산자를 사용하는 이유는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받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if 문을 사용해서 로그인 정보를 만들 때 이름, 나이, 성별이라는 정보를 가지고 회원정보를 맞출 수 있습니다. 이 예시는 마지막에 코드 예시를 통해 보여드리고 마무리하겠습니다. 먼저 각각의 논리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or) ||(or)은 간단하게 or 연산자라고 하겠습니다. or 연산자는 엔터 위에 \의 시프트 키를 누른 버전으로 || 두 번 눌러 사용합니다. or은 말 그대로 둘 중 .. 2022. 8. 8.
JS- 조건부 연산자? JS- 조건부 연산자? 오늘은 저번 글에 다뤘던 if 문과 관련된 조건부 연산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건부 연산자는 '물음표 연산자'라고도 불립니다. 이유는 조건부 연산자는 '?'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조건부 연산자의 특징은 보통 연산자와 달리 피연산자가 3개라는 것입니다. ※ 여기서 피연산자란 a+b라는 식이 있을 때 a는 왼쪽의 피연산자, b는 오른쪽의 피연산자라고 불립니다. 위에 식은 한 가지 연산에(+) 2가지의 피연산자 있어서 이항 연산자라고 불리고 만약 -1과 같은 음수 형은 한 개의 피연사를 가지기 때문에 단항 연산자라고 불립니다. ※ 본론으로 돌아가 조건부 연산자는 JS에서 유일하게 한 연산자에 3가지 피연산자를 가지는 '삼항 연산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시를 보기 전에 if 문과.. 2022. 8. 8.
JS-if 문 JS-if 문 오늘은 JS에서 if 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영어에서 if는 '만약 ~라면' 이런 식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JS에서도 if 문은 '만약 ~라면 어떤 값을 실행해라'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if 문을 사용하면 로그인과 같은 정보를 처리할 수도 있는 중요한 정보입니다. if 문은 if(조건) {실행될 값};로 사용합니다. (이 때 실행될 값이 한 줄일 경우 {}를 생략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가독성과 추후의 수정을 위해서 {}는 같이 작성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만약 설정한 조건과 일치한다면 값이 실행될 것이고 만약 일치하지 않는다면 값은 실행되지 않을 것입니다. JS에서는 이런 결과를 기본 자료형에서 불린 형을 통해 구분합니다. 불린 형은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자료형인데 만약 .. 2022. 8. 7.
JS-모달창 JS-모달창 오늘은 JS에서 모달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모달창이란 특정 내용의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띄우는 메시지 창을 의미합니다. JS에서 모달창을 지원하고 있는데 모달창을 사용하는 방식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1) alert alert는 모달창을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alert만 사용해서 모달창을 띄운다면 메시지 내용과 확인 버튼만 있습니다. 모달창이 떴을 때는 JS 동작이 멈추고 확인 버튼을 눌렀을 때 다시 JS가 동작합니다. 그리고 확인 버튼을 누르기 전까지 모달창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사용방법은 alert('문자열' or 숫자형 or `${변수}` 등); (;은 한줄이라면 작성하지 않으셔도 되지만 ;을 넣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prompt prompt를 사용하면 ale.. 2022. 8. 6.
728x90
반응형